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blk-mq
- lruvec
- slab
- vmalloc
- pmap
- kafka
- vm_area_struct
- BLOCK
- slowpath
- kmalloc
- Kernel
- mm_struct
- proc
- 카프카
- Linux
- commit
- Android
- Apache
- slub
- fastpath
- strex
- memory
- page
- multiqueue
- Network
- spinlock
- allocator
- devicedriver
- NDK
- buddy_system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zookeeper (1)
Art of Pr0gr4m
카프카 카테고리의 실습 글들은 해당 서적과 해당 문서의 내용을 참고합니다.그 중 특히 서적의 내용을 주로 따라하는 대신, 리눅스 사용 등에 많이 친숙하지 못한 분들도 따라할 수 있고 실습 위주로 편성하였습니다.----- 카프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, 번역으로 진행하는 문서 글에서 참고하도록 하고,해당 포스트는 실습 위주로 진행하겠습니다. 우선 카프카를 운영하는 데에 분산 애플리케이션 코디네이션 시스템이 필요한데, 주키퍼가 바로 그것입니다.주키퍼는 분산되어 있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중앙에 집중 및 구성하여 관리하고, 동기화 하거나, 그룹 관리 네이밍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주키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포스팅에서 하기로 하고, 어떻게 시스템을 구성할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.분산 시스템을 운영하는 ..
IT/Kafka
2018. 7. 28. 02:09